[데일리투데이 강인범 기자]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에 기반한 수도권 출퇴근 30분 이내 가능 및 지역 광역급행철도(x-TX)를 도입한 메가시티 1시간 생활권 조성을 골자로 한 정부안이 발표되었다.
25일 경기 의정부시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'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'에서 발표된 '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'에 따르면, ▲GTX사업 본격화와 더불어 ▲김포골드라인의 혼잡 완화, ▲고속도로 구간 지하화, ▲도심항공교통(UAM) 상용화 추진 등도 담겼다.
아울러 교통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민간 재원을 포함해 총 134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.
먼저, GTX사업은 ‘속도 혁신’을 주제 하에 출퇴근 시간을 기존보다 절반가량 줄이겠다는 구상이다.
이에 GTX-A노선의 수서∼동탄 구간을 예정대로 올해 3월에 개통 후 운영이 시작된다.
아울러 파주 운정∼서울역 구간을 연내에 개통하면서 약 4년 뒤인 2028년에는 A노선 전 구간을 완전 개통을 목표로 두었다.
올해 초에 착공하는 GTX B노선(인천대 입구∼마석)은 2030년에 개통되며, 이어 C노선(덕정∼수원)은 2028년에 각각 개통할 예정이다.
GTX-A·B·C 노선의 연장도 추진된다.
A노선은 동탄에서 평택까지, B노선은 경춘선을 활용해 마석에서 춘천까지, C노선은 덕정에서 동두천, 수원에서 충남 아산까지 더 연장한다.
여기에 더해 GTX-D·E·F 노선을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새롭게 반영하여 1단계와 2단계로 나눠 구간별 개통을 추진하기로 했다.
특히 1단계 노선의 경우에는 현 정부 임기 내 예비타당성 조사 동시 통과를 추진할 예정이다.
이외에도 수도권과 지방 간 교통 격차를 줄이고자 지방 대도시권에는 GTX와 같은 수준의 지역 광역급행철도인 x-TX를 도입하기로 했다.
구체적으로 대전∼세종∼충북 권역에서는 'CTX'(가칭)로 불리는 광역급행철도 선도사업이 추진된다.
또 부산·울산·경남, 대구·경북, 광주·전남 등 다른 권역의 경우 지자체와 협의해 급행철도 사업 추진이 가능한 노선 발굴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.
교통 정체가 심한 일부 고속도로 구간의 지하화 사업과 더불어 도심항공교통(UAM) 상용화도 추진한다.
이른 바 ‘지옥철’로 출퇴근 혼잡도 문제 제기가 이어지는 김포 골드라인에는 ▲추가 차량 투입과 ▲출근 시간대 광역버스 증편, ▲출발지·종점 다양화, ▲특정 시간대 올림픽대로 버스전용차로 단계적 도입 등을 추진한다.
이와 함께 2층 전기버스와 광역 DRT(수요응답형버스), 좌석 예약제 확대, 급행버스 도입 도 함께 추가된다.
한편, 교통 투자 재원은 건전 재정 기조 아래 민간투자 유치와 지자체와의 협업 등을 통해 다각화하기로 했다.광역교통개선대책 사업비 약 11조원도 활용한다,
세부 재원은 ▲국비 30조원과 ▲지방비 13조 6,000억원, ▲민간 75조 2,000억 원, ▲신도시 조성원가 반영 9조 2,000억 원, ▲공공기관 5조 6,000억원 등으로 구성 운영된다.
noah9191@gmail.com
<저작권자 © 데일리투데이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
기사등록 2024-01-25 13:49:41